사단법인 새말새몸짓
로그인
법인소개
- 설립목적
- 인사말
- 조직
- 정관
- 연락처
활동들
- 책 읽고 건너가기
- 새말새몸짓 YouTube강좌
- 새말새몸짓 칼럼
- 새말새몸짓 기본학교
- 새말새몸짓 장병포럼
- 새말새몸짓 강연
회원가입/후원하기
- 회원/후원안내
- 기부금 관리규정
참여
- 공지사항
- 책 읽고 건너가기
- 자유게시판
- 갤러리
- 기본학교
온라인문의
- 비회원문의
- 1:1문의
- 통합검색
- 자주하시는질문
법인소개
설립목적
인사말
조직
정관
연락처
활동들
책 읽고 건너가기
새말새몸짓 YouTube강좌
새말새몸짓 칼럼
새말새몸짓 기본학교
새말새몸짓 장병포럼
새말새몸짓 강연
회원가입/후원하기
회원/후원안내
기부금 관리규정
참여
공지사항
책 읽고 건너가기
자유게시판
갤러리
기본학교
온라인문의
비회원문의
1:1문의
통합검색
자주하시는질문
로그인
참여
법인소개
활동들
회원가입/후원하기
참여
온라인문의
자유게시판
공지사항
책 읽고 건너가기
자유게시판
갤러리
기본학교
참여
자유게시판
참여
자유게시판
자유게시판
이름
필수
비밀번호
필수
이메일
홈페이지
제목
필수
내용
필수
웹에디터 시작
> > > 작가는 어떻게 읽는가 - 23page > > <뉴요커>의 소설 편집자 빌 버포드와 통화하다가 칭찬을 한마디 듣고 싶어 낚시를 던졌다. "그런데 그 이야기에서 빌의 마음에 드는게 뭡니까?" 나는 징징거렸다. 상대방은 한참 입을 다물었다. 이윽고 빌은 이런 말을 했다. "음, 한 줄을 읽습니다. 그러면 그게 마음에 들어요.. 다음 줄을 읽어볼 만큼." > > 그거였다. 그게 빌의, 그리고 아마도 <뉴요커>의 단편 미학 전부였다. 그것으로 완벽했다. 이야기란 선형적-시간적 현상이다. 이야기는 한 번에 한 줄씩 진행되면서 우리를 매혹시킨다. 이야기가 우리에게 뭔가 해주려면 우리는 그 안으로 계속 끌려들어가야만 한다. > > 나는 이 생각에서 오랫동안 많은 위로를 받았다. 소설을 쓰는 데 큰 이론은 필요 없다. 단 한 가지를 제외하면 걱정할 필요가 없다. 합리적 인간이 네 번째 줄을 읽다가 다섯 번째 줄로 넘어갈 만큼 마음이 흔들릴 것인가? > > 왜 우리는 어떤 이야기를 계속 읽어나갈까? > 그러고 싶기 때문이다. > 왜 그러고 싶을까? > 그게 100만 달러짜리 질문이다. > >
웹 에디터 끝
링크 #1
링크 #2
파일 #1
파일 #2
자동등록방지
숫자음성듣기
새로고침
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.
취소
작성완료
홈
법인소개
오시는 길
Top
상단으로